고객센터;
자존감 높이는 6가지 대화법
|
|||||
등록일 | 2016.09.30 | ||||
---|---|---|---|---|---|
1 부모와 따뜻한 대화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인다! 대부분의 부모는 아이의 감정을 제대로 받아주지 못하고, 아이와 대화가 아닌 언쟁을 벌이지요. 아이의 감정을 무시한 채 무조건 부모의 느낌을 받아들이라고 강요할 때 부모와 아이 사이에 적대감만 쌓인답니다. 아이의 말을 집중해서 진지하게 들어주고 공감해주기만 해도 아이는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나간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아이들에게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어요. 잔소리는 대부분의 부모가 기분이 좋지 않을 때 하게 되기 때문에 아이를 옆집 아이와 비교하거나 아이 자체를 빈정거리거나 훈계의 말이 되기 쉽답니다. 그런 말을 들으면 아이는 기분이 상할 뿐만 아니라 알아서 하려던 것도 더 하기 싫어지지요. 아이에게 잔소리가 아닌 대화를 하려면 관찰한 것이나 문제점을 이야기하고, 더 나아 질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며, 한마디로 짧게 말해야 한답니다. 사로잡히게 되지요. 그로 인해 아이 스스로 자신의 잘못과 마주하는 중요한 내적 과정을 빼앗기게 됩니다. 표현한 후 아이의 인격을 존중하는 선에서 불만을 표시하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고, 그래도 아이의 행동에 변화가 없을 때는 부모가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강박관념에 빠져 있습니다. 요즘 부모들은 아이들을 위해 생각까지 기꺼이 해주는 수고를 감수하지요. 아이는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는 동안 실수도 하게 되고 그러는 과정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운답이다. 부모가 개입할수록 아이는 더욱 어려지고, 점점 더 미숙해지며, 부모에게 더욱 의지하게 되지요. 따라서 스스로 선택 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아이의 노력을 존중해 주며 옆에서 지켜보고, 아이의 질문에 서둘러 대답하지 않고 아이 스스로 집 밖 세상에서 답을 얻을 수 있도록 격려해주세요. 그렇게 할 때에 아이는 자기 주도적인 힘을 기를 수 있습니다. 칭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말들은 아이를 만족스럽지 못한 감정에 빠지게 합니다. 아이는 자신의 장점을 잘 발견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아이로 자란답니다. 일상에서 대화의 시간이 늘어나면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영향을 받아 아이 또한 부모와 똑같이 인식하게 되고, 나이가 아이에게 대한 부모의 감정뿐만 아니라 행동 또한 영향을 받게 됩니다.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인생에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잊지 마세요. |
월령별 먹일 수 있는 아기 이유식 재료
2016. 09. 30채소 즐기는 건강한 아이로 키우는 21일 주스
2016. 10. 03